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LCK 플레이오프 진행 방식 알아보기

by 은하수 고양이 2025. 8. 20.
반응형

 

 

2025 시즌 들어 LCK는 진행 방식이 확 바뀌었습니다.

LOL e스포츠의 1년 대회 포맷이 3개의 국제대회, 3개의 리그 스플릿으로 나누어 운영되는 것으로 개편되었기 때문인데요

때문에 이전에 비해 방식이 다소 복잡해졌습니다.

또한 LCK의 리그 운영 방식도 이전과는 확연하게 달라졌는데요, 특히나 다소 복잡해진 플레이오프 진행 방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우선 LCK의 한 해 진행 방식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LCK는 스프링/서머 2개 스플릿 방식에서 통합되었습니다. 다만 정규시즌 1-2라운드는 기존과 같이 10개 팀이 3전 2선승제 더블 라운드 로빈 방식으로 경기를 치루었습니다. 그리고 2라운드까지 일정을 모두 소화한 후 로드 투 MSI 경기를 치뤘고 MSI까지 모두 끝난 후 3~5라운드를 치릅니다.

 

레전드/라이즈 그룹으로 나눕니다

 

3~5라운드에서 이전과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1~2라운드 성적 상위 5개 팀은 레전드 그룹으로, 하위 5개 팀은 라이즈 그룹으로 조가 재편성되며 레전드 그룹은 레전드 그룹끼리, 라이즈 그룹은 라이즈 그룹끼리 다시 3전 2선승제로 서로 돌아가며 세 번의 라운드 로빈으로 경기를 치릅니다. 또한 1-2라운드 성적이 3-5라운드에도 계승되기 때문에 1-2라운드에 성적을 잘 쌓아두는 것이 정말 중요했습니다.

 

또한 레전드 그룹 안에서의 순위도 매우 중요한데요 순위가 높은 팀이 자신과 맞붙을 팀을 선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레전드 그룹 5위는 플레이-인부터 시작해야 해 우승까지 거쳐야 할 관문이 매우 많습니다. 때문에 그 순위 싸움이 매우 중요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B,F,D,G 4개 팀 중 G와 B가 플레이오프로 진출했습니다.

 

5라운드까지 모든 경기가 진행되면 플레이-인 경기가 진행됩니다. 플레이-인은 포스트 시즌의 시작을 알리는 경기로 라이즈 그룹 상위 3개 팀과 레전드 그룹 5위 팀, 총 4개의 팀이 참가해 5전 3선승제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대결합니다.

 

그리고 2연패를 거둔 팀은 바로 탈락, 2연승을 거둔 팀은 바로 플레이오프로 진출하며 1승 1패의 2개 팀이 최종전을 벌여 승자가 플레이오프로 진출합니다. 그리고 플레이-인에서 패배한 2개 팀은 다음 시즌을 기약하게 됩니다.

 

플레이오프가 다소 복잡해졌습니다

플레이오프 

 

플레이오프는 결승전까지 총 5개 라운드로 진행되며 6개 팀이 5전 3선승제의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경기를 치릅니다. 

라운드 1에는 레전드 그룹의 3위 J와 4위 I가 미리 진출해 있고 라운드 2에는 레전드 그룹의 1위 C와 2위 E가 미리 진출해 있습니다.

 

라운드 1에서는 레전드 그룹의 3,4위 팀(J,I)이 플레이-인에서 살아남은 2개 팀(G,B)과 대결합니다.

그리고 그 승자인 B와 I가 라운드 2에서 C와 E와 각각 경기를 치릅니다.

 

그리고 라운드 1의 패자인 J와 G가 패자부활전을 치러 살아남은 J가 라운드 2의 패자인 B와 패자부활전을 치르게 됩니다. 그리고 그 승자 팀인 J는 E와 라운드 3에서 경기한 후 승자는 최종 결승 진출전에 진출하게 됩니다.

여기서 E와 B는 모두 라운드 2에서 패배했지만 E는 레전드 그룹 2위였기에 라운드 3에 진출하는 특혜를 받았습니다.

 

라운드 4에서는 라운드 2의 승자팀인 C와 I가 경기를 치르고 그 승자는 결승전에 진출합니다. 그리고 패자는 최종 결승 진출전에 진출합니다.

라운드 3의 승리자인 E는 C와 I의 경기에서 패배한 팀과 최종 결승 진출전에서 맞붙어 그 승자가 결승전에 진출합니다.

 

모든 경기가 5전 3선승제이며 6개 팀이 더블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맞붙다 보니 경기 수가 매우 늘어났으며 패배했을 경우 패자부활전을 거듭해 뚫어야 하기 때문에 매 경기의 중요성이 이루 말 할 수 없을 정도입니다.

 

반면에 연승으로 결승에 진출한 경우 패자부활전과 최종 결승 진출전을 뚫고 올라와야 하는 상대에 비해 체력과 일정, 전력노출 면에서 모두 앞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플레이오프의 결과에 따라 2025 리그오브레전드 월드챔피언십의 진출권이 주어지게 됩니다.

우승자 1시드, 준우승자 2시드, 최종진출전의 패자 3시드

 

기존에는 서머 결승이 끝나면 우승 팀에게 1시드, 준우승 팀에게 2시드가 주어지고 월드 챔피언십 선발전을 치러 3,4시드를 결정했었습니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3시드는 최종 결승 진출전의 패자에게 주어집니다. 

그리고 MSI에서 최상위 기록을 달성한 LCK와 LPL에는 추가 진출권이 부여되어 4개 팀씩 진출하게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추가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순위는 이렇습니다

현재 순위는 이렇습니다.

혼돈의 도가니인 라이즈 그룹의 순위 싸움은 한 치 앞을 예상 할 수 없지만 레전드 그룹은 사실 젠지가 1위를 확정 지은 상황이고, 한화와 티원의 2위 경쟁 정도가 기대를 모으고 있습니다. 4위 kt와 5위 농심의 순위에도 변동은 크게 없을 듯합니다.

 

지금까지 다소 복잡해진 LCK 플레이오프 진행 방식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다음에는 LCK 플레이오프의 일정과 대진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5라운드를 앞둔 LCK에 앞으로도 많은 사랑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2025.08.20 - [LCK] - 2025 LCK 플레이오프 진행 방식 알아보기

2025.08.21 - [LCK] - 2025 롤드컵 진행 방식 알아보기

2025.08.17 - [LCK] - 2025 LCK 남은 일정 및 순위 알아보기!

2025.08.17 - [LCK] - 2025 LCK CL 잔여 일정 및 순위 알아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