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 롤 월드 챔피언십 롤드컵 진행 방식 - 참가 팀, 스위스 스테이지, 토너먼트

by 은하수 고양이 2025. 9. 15.
반응형

2025년 LCK 시즌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며, 전 세계 리그오브레전드 팬들의 이목은 월드 챔피언십(롤드컵)에 집중되고 있습니다. 올해 롤드컵에는 총 17개 팀이 참가하며, 기존과 달라진 진행 방식과 새로운 규정이 적용됩니다. 본문에서는 참가 팀 구성, 스위스 스테이지의 운영 방식, 토너먼트 스테이지까지 전 과정을 정리해드립니다.

 

 

참가 팀 및 시드 배정 방식

2025 롤드컵에는 총 17개 팀이 참가합니다. 기본적으로 LCK, LPL, LEC, LCS, PCS 등 5대 리그에 각 3개의 시드가 주어집니다. 하지만 추가 시드 제도가 존재하는데, 올해 MSI 우승팀이 속한 리그와 준우승 리그가 각각 1개의 시드를 추가로 확보하게 됩니다. 2025 MSI에서 우승과 준우승 모두 LCK가 차지했기에, LCK는 자동으로 4개의 시드를 확보했습니다. 그리고 다음 성적을 기록한 LPL 역시 추가 시드를 받으며 총 4팀이 롤드컵에 출전합니다.

LCK의 경우, 결승에 진출한 2팀이 1·2시드를 받고, 결승 진출전에 탈락한 팀이 3시드, 그리고 라운드3에서 탈락한 팀이 4시드를 배정받습니다. 즉, 총 4개 팀이 롤드컵 진출권을 차지하는 구조입니다.

LCK 참가팀은 4개

 

플레이-인 및 스위스 스테이지

기존에는 20개 팀이 참가했으나, 2025 시즌부터는 17개 팀 체제로 변경되었습니다. 따라서 16개 팀이 참여하는 스위스 스테이지를 맞추기 위해 1팀이 먼저 탈락해야 합니다. 이 과정이 바로 플레이-인 경기입니다. MSI 성적 보너스로 추가 시드를 받은 두 리그(LCK와 LPL)의 4번 시드가 단판제 시리즈(5전 3선승제)로 맞붙어 단 한 팀만이 스위스 스테이지에 합류하게 됩니다. 이 경기는 단두대 매치로 불릴 만큼 긴장감이 크며, 패배한 팀은 그대로 시즌을 마무리하게 됩니다.

스위스 스테이지는 16개 팀이 동일한 조건에서 시작합니다. 라운드는 총 5라운드로 구성되며, 같은 전적을 가진 팀들끼리 대결합니다. 예를 들어 1승 팀은 1승 팀과, 1패 팀은 1패 팀과 맞붙는 방식입니다. 3승을 먼저 달성한 8개 팀이 토너먼트 스테이지에 진출하고, 3패를 기록한 팀은 탈락합니다. 따라서 모든 경기의 승패가 향후 경기와 직결되며, 이변이 자주 발생하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스위스 스테이지 대진표

토너먼트 스테이지 (8강~결승)

스위스 스테이지를 통과한 8개 팀은 본격적인 토너먼트에 돌입합니다. 토너먼트 스테이지는 8강, 4강, 결승으로 구성되며, 모든 경기가 5전 3선승제 싱글 엘리미네이션 방식으로 진행됩니다. 즉, 단 한 번의 패배가 곧 탈락을 의미하므로, 경기의 긴장감은 MSI 때의 더블 엘리미네이션보다 훨씬 더 높습니다. 이 때문에 매년 예상치 못한 업셋이 발생하며, 팬들에게 큰 화제를 제공합니다.

결승전은 시즌 마지막을 장식하는 무대로, 매년 최고의 명장면이 탄생하는 순간이기도 합니다. 2025 롤드컵 역시 각 리그 대표팀들이 모여 단 하나의 우승 트로피를 두고 치열한 경쟁을 펼칠 예정입니다.

2025 리그오브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은 기존과 달리 참가 팀 수와 단계별 운영 방식이 일부 변경되었지만, 여전히 최고의 e스포츠 대회로서 전 세계 팬들을 설레게 하고 있습니다. 플레이-인의 단두대 매치, 스위스 스테이지의 긴장감, 그리고 단판 승부의 토너먼트까지 모든 과정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LCK를 비롯한 각 리그의 대표팀들이 어떤 전략과 챔피언으로 무대에 오를지 기대해봅시다.

8강~결승 토너먼트 스테이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