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LCK 결승전은 젠지와 한화생명의 맞대결로, LoL 팬들의 폭발적인 관심을 받으며 인천 인스파이어 아레나에서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단일 시즌 체제로 처음 열린 이번 결승은 챔피언십 이상의 무게감과 상징성을 지녔고, 양 팀 모두 최고의 라인업과 전략을 갖추고 결승전에 나섰습니다. 본 리뷰에서는 젠지의 결정적인 우승 요인, 한화생명의 분전과 약점, 그리고 전체 경기의 핵심 장면과 결과를 정리해 봅니다.
룰러의 슈퍼플레이가 만든 흐름
이번 결승전에서 가장 눈부신 활약을 보여준 선수는 단연 ‘룰러’ 박재혁이었습니다. 1세트에서 이즈리얼을 선택한 룰러는 사이드에서 코르키를 솔로 킬 내는 슈퍼플레이로 분위기를 반전시켰으며, 후반부 한타에서도 엄청난 딜링으로 에이스를 만들어내며 승기를 굳혔습니다. 2세트에서는 카이사로 등장해 치열한 공방전 속에서도 살아남으며 결정적인 한타에서 전장을 장악했습니다. 특히 드래곤 한타 후 살아남아 판을 정리하는 모습은 베테랑다운 경기 운영의 정점을 보여줬습니다. 또한 4세트에서도 자야로 상대 정글을 스틸하고, 바론 스틸까지 성공시키며 경기를 단단히 틀어쥐었습니다. 룰러는 단순히 개인 기량을 넘어서 젠지의 핵심 딜러이자 중심축 역할을 톡톡히 했고, 그의 안정적인 포지셔닝과 빠른 판단력은 결승 시리즈 전체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이번 시리즈는 룰러의 커리어 중 최고의 경기로 꼽힐 만합니다.
한화생명의 반격과 전략적 한계
한화생명은 젠지에게 1, 2세트를 내주며 벼랑 끝에 몰렸지만, 3세트에서 반격에 성공하며 저력을 보여주었습니다. ‘제카’ 김건우의 사일러스가 중심이 된 교전 구도, 그리고 드래곤 싸움에서의 에이스는 그들이 단순히 밀리는 팀이 아님을 증명했습니다. 그러나 전체적인 밴픽 전략에서의 모험과 불안정한 조합 완성도는 큰 대회에서 치명적인 약점으로 작용했습니다. 특히 정글과 탑의 조합이 일관되지 못했고, 한타 구도에서의 이니시에이팅 미스가 누적되면서 중요한 타이밍마다 흐름을 놓쳤습니다. 4세트에서는 요릭, 스카너 등의 전략적 카드로 예상을 뒤엎는 픽을 시도했지만, 바론 스틸과 룰러의 딜링에 무너지며 경기를 마무리 지을 수 없었습니다. ‘바이퍼’ 박도현의 활약도 인상적이었으나, 상대적으로 라인전부터 고전한 점이 아쉬움으로 남습니다.
결승 결과와 시사점
2025년 LCK 결승전은 젠지의 3:1 승리로 마무리되며, 최초 단일 시즌 체제의 챔피언으로 이름을 올렸습니다. 젠지는 전원 클래스 있는 경기력을 바탕으로 승리를 거머쥐었고, 특히 피넛-쵸비-룰러로 이어지는 중앙 축이 완벽한 합을 보여주었습니다. 한화생명은 결승전에서 값진 경험을 쌓으며 향후 가능성을 보여주었지만, 고질적인 후반 집중력과 운영 능력에서의 한계가 노출되며 과제를 안게 되었습니다. 팀 차원에서의 밴픽 조정과 후반 콜의 정리가 필요해 보입니다. 이번 결승전은 LCK의 전략적 깊이와 선수 개개인의 슈퍼플레이가 결합된 수준 높은 경기였으며, MSI와 월드 챔피언십을 앞두고 LCK의 국제 경쟁력을 다시금 각인시켰습니다. 팬들에게는 오랜만에 손에 땀을 쥐는 시리즈였고, e스포츠 역사에 남을 명승부였습니다.젠지의 우승은 조직력과 개인 기량이 완벽히 어우러진 결과였으며, 한화생명 역시 성장 가능성을 입증했습니다. 이번 LCK 결승 리뷰를 통해 전체적인 흐름과 주요 포인트를 정리했으니, 향후 국제 대회 관전을 위한 분석 자료로 참고해 보시길 바랍니다.